NFT/ART

코드로 그림을 그리기(Code -> Art)

iambbrone 2023. 2. 9. 19:28

아티스트가 코딩으로 알고리즘을 생성하여 그 알고리즘을 통한 결과물이 표현되는 걸 Coded Art라고 했었죠.

결과물이 어떻게 세상밖으로 나오는지에 따라서 a) Short-form, b) Long-form으로 분류가 됩니다.

a) Short-form

  • 아티스트는 코딩으로 알고리즘을 작성하여 결과값을 가지게 됩니다.
  • 아티스트는 수많은 수정/보완 작업을 통해 최종 결과물들을 선택합니다. 
  • 알고리즘 스크립트를 블록체인에 저장합니다.
  • 최초 구매자가 발생시 스크립트가 작동이 되어 최종 결과물 중 하나가 선택됩니다.
    (결과물 = 아티스트가 선택(의도)한 작품)
  • 선택된 결과물은 nft로 발행되어 최초 구매자의 소유가 됩니다.

“The First Snow” by Ordinarywillard

 

b) Long-form

  • 아티스트는 코딩으로 알고리즘을 작성하여 결과값을 가지게 됩니다.
  • 알고리즘 스크립트를 블록체인에 저장합니다.
  • 최초 구매자가 발생시 스크립트가 작동이 되어 새로운 결과물이 발생합니다.
    (결과물은 그 누구도 예상할 수 없음)
  • 선택된 결과물은 NFT로 발행되어 최초 구매자의 소유가 됩니다.

 

Ringers #109 by Dmitri Cherniak

 

 

큰 차이점은 아트의 결과물을 nft로 발행되기전에 미리 알 수 있느냐 없느냐가 되겠죠.

 

Long-term의 장점은 뭘까요?

  • 최초 구매자는 단순 작품을 구매하는 대상이 아닌 하나의 작품이 탄생하는 과정에 참여를 하게 됩니다.
    예로들어, 구매(또는 민팅) 버튼을 클릭, 송금하는 모든 과정들에 따라 새로운 아트가 만들어지는 경험할 수 있습니다.
  • 결과물의 다양성, 게임적인 요소 ( 예상치 못한 rare한 결과값 기대/예상)

 

 

SuperRare에서 발행되는 제너레이티브 아트는 Short-form이네요. 아티스트가 선정한 작품들을 구매자들이 소유하게 됩니다.

Art Blocks의 작품은 선택된 결과물이 아닌 최초 구매자가 구매하는 순간까지의 여러 변수들로 만들어집니다.

 

 

Coded art가 저장되는 방법에 따라 오프체인(Off-chain) / 온체인(On-chain)으로도 분류가 됩니다.

다음 게시물은 Off-chain / On-chai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https://twitter.com/ordinarywillard

 

WILLARD (@ordinarywillard) / 트위터

WILLARD (noun): Artist observing the ordinary.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
twitter.com

https://twitter.com/dmitricherniak

 

Dmitri Cherniak (@dmitricherniak) / 트위터

Automation is my artistic medium. Hand coded goods. 🇨🇦 He/Him.

twitter.com

 

'NFT > AR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i art  (0) 2023.03.06
nft 저장 방식(온체인/ 오프체인)  (0) 2023.02.27
코드, 알고리즘, ai로 그림을 그린다 (제너레이티브 아트)  (0) 2023.02.04